‘안전도시 광명, 세계 속으로’ 국제안전도시 인증 추진 캠페인

[광명지역신문] 누구나 안전하게 살 권리가 있다. 문제가 터질 때마다 재난, 재해, 범죄, 사고 등 위험으로부터 생명과 안전을 보호하는 근본대책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높았다. 역대 모든 정권은 안전이 최우선이라 말해왔다. 그러나 대한민국은 여전히 OECD국가 중 자살률, 교통사고 사망률, 보행자 사망률, 산업재해 사망률 등 각종 안전사고 최하위의 오명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그렇다면 광명시는 안전한 도시일까? 그동안 역대 광명시장 중 안전의 중요성을 부인했던 사람은 없었다. 그러나 광명시가 위험을 먼저 감지해 생명과 안전을 지켜줄 것이라 믿는 시민들은 과연 몇이나 될까.

오랜 세월 모두가 안전을 외쳤지만 여전히 많은 이들이 안전하지 못하다고 여기는 이유는 지속성의 부재 때문이다. 관 주도의 안전계획은 정치적 상황에 따라 없어질 수 있고, 표를 의식한 선심성 정책만 남발될 수 있다. 어떻게 하면 ‘안전’이 구호가 아닌 사회 구성원들의 실질적인 노력으로 이어지고, 정치인이 바뀌고 정치적 상황이 달라져도 지속적으로 추진될 수 있을까.

이런 지역사회의 고민은 오래 전부터 시작됐고, 창간 15년째에 접어든 광명지역신문은 지역사회에 상존하던 문제의 해결 방안을 찾기 위해 노력했다.

이에 광명지역신문은 광명시를 WHO(세계보건기구)가 공인하는 국제안전도시로 만들 것을 제안하며, ‘국제안전도시 인증 추진 캠페인’을 시민사회와 함께 하는데 지난 15년간 쌓아 온 모든 역량을 쏟아 부으려 한다.

국제안전도시란, 지역사회 구성원들이 사고로 인한 손상을 줄이고, 안전을 증진시키기 위해 지속적이고 능동적으로 노력하는 도시를 말한다. 현재 국내에서는 경기 과천, 서울 송파 등 18개 지자체가 공인을 받았으며, 경기 안산 등 7개 지자체가 공인을 준비하고 있다.

국제안전도시는 ▲자연재난 ▲화재안전 ▲환경안전 ▲산업안전 ▲교통안전 ▲감염병 ▲스마트안전 등 7개 분야 116개 사업을 심의한다. 공인 신청을 한다고 해서 하루아침에 되는 것이 아니라 공인받기까지 평균 3~5년이 소요되는 쉽지 않은 프로젝트다. 공인을 받았다고 끝나는 것이 아니라 5년마다 재공인을 받는 시스템이다.

장기적 안전계획을 수립하고 수년간 착실히 정책을 추진해야 국제안전도시가 될 수 있다. 공인 후에 지속적인 노력을 게을리 하면 5년 후 재평가에서 탈락된다. 국제안전도시 인증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광명은 시민들이 안전과 행복을 누릴 수 있는 인프라가 갖춰진 도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광명시는 2013년 여성친화도시 지정, 2015년 UN ISDR 기후변화 및 재해에 강한 도시 만들기 캠페인 인증, 2018년 유니세프 아동친화도시 인증 등 사회안전망 구축에 노력해왔다. 그동안의 노력들을 결집해 더 안전한 광명을 만들자는데 누가 반대하겠는가.

‘국제안전도시 인증 추진 캠페인’은 안전하고 행복한 도시를 만들자는데 뜻을 같이 하는 시민이라면 누구나 동참할 수 있다. 기존 국제안전도시가 관이 주도한 민관 협력체제였다면, 이 캠페인은 시민이 주도해 민관 협력 네트워크를 제안한다는 점에서 전국 최초의 시민주도형 국제안전도시 모델로서의 의미를 가진다.

주민참여, 민관협치, 자치분권을 전면에 내세운 민선 7기 박승원號(호)가 출범한 지 2개월이 됐다. 박승원 시장이 당장 눈앞에 보이는 결과보다는 광명의 탄탄한 기반을 다지는 과정에 충실하고, 깨어있는 시민의 힘을 더 나은 광명을 위한 성장 동력으로 삼아 주민참여와 지역화합을 이끌어내길 기대한다.

이제 판은 깔렸다. 어떤 판을 만드느냐는 우리의 몫이다. 더 많은 시민들이 방관자가 아니라 자치시대를 열어가는 시민권력이 되길 바란다. 광명지역신문도 캠페인의 일원으로서 '안전도시 광명'이 세계 속으로 뻗어가도록 그 역할을 다하겠다.

저작권자 © 광명지역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